일본 대학 입학 또는 일본 기업 취업에 관심 있으신가요? 그렇다면 일본어 자격증에 도전하셔야 되는데요. 하지만 일본어 능력 시험은 종류가 아~주 많습니다! 그 시험들 중 본인 상황에 가장 적합한 것은 무엇일까요? 일본어 자격증 종류 자세히 알아보세요.
1. JLPT (일본어 능력 시험)
- 주관처 : 일본국제교류기금, 일본국제교육지원협회
- 등급 : N1, N2, N3, N4 N5 레벨
- 시험일정 : 연 2회 (7월, 12월)
- 응시료 : 65,000원/50,000원
- 활용처 : 한국 및 일본 대학 입시, 일본 취업
JLPT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Test)는 일본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사람을 대상으로 일본 정부 산하의 공적 기관이 주최하는 일본어 시험입니다.
매년 전세계 100만명 이상이 JLPT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일본어 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시험은 N1, N2, N3, N4, N5로 나뉘어져 있으며 수험자가 자신에게 맞는 레벨을 선택하여 응시할 수 있습니다.
JLPT 등급은 한국과 일본의 대학 입시 및 취업에 활용됩니다.
JLPT는 언어지식(문자, 어휘 문법)과 독해력, 청해력을 중점적으로 테스트합니다. 읽기와 듣기 방식으로 시험이 진행되며, 말하기와 쓰기 시험은 없습니다.
👉JLPT 등급 (N5~N1) 별 난이도 정리! 어떤 등급에 응시해야 할까?
👉2025 JLPT 시험일정, 응시료, 신청방법 알아보기
2. JPT (일본어 능력 시험)
- 주관처 : YBM
- 등급 : 10~990점
- 시험일정 : 연 12회 (매달 1회)
- 응시료 : 51,000원
- 활용처 : 국내 대학 입학, 기업체 및 공공기관의 취업 및 인사고과
비슷한 이름의 JPT (Japanese Proficiency Test)는 토익으로 유명한 국내 사설 학원 YBM에서 주최하는 일본어 시험입니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검증을 통해 본인의 일본어 실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토익과 마찬가지로 10점부터 990점까지 점수가 제공됩니다.
일상생활부터 비즈니스 환경까지 다양한 환경과 소재를 배경으로 출제됩니다. 청해 100문항, 독해 100문항 총 200문항으로 시험이 진행됩니다. JLPT와 마찬가지로 말하기, 쓰기 시험은 없습니다.
JPT 고득점이 있으면 다수의 국내 기업, 공공기관, 대학에서 가산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JLPT와의 차이를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JPT JLPT 차이 완벽 정리! (일본어 시험 뭐 쳐야 돼?)글도 함께 읽어보세요.
3. SJPT (일본어 말하기 시험)
- 주관처 : YBM
- 등급 : Level 1~10
- 시험일정 : 연 12회 (매달 1회)
- 응시료 : 84,000원
- 활용처 : 국내 대학 입학, 기업체 및 공공기관의 취업 및 인사고과
SJPT(Spoken Japanese Proficiency Test)는 YBM이 주관하는 일본어 스피킹 테스트입니다. 일본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실용적인 시험입니다.
일상 회화와 비즈니스 상황을 소재로 하는 질문에 일본어로 응답해야 하는데요. 컴퓨터에 설치된 헤드셋을 통해 녹음된 질문 및 그림으로 주어진 상황에 답하는 형식입니다.
등급은 Level 1부터 10까지 10단계로 구분되어 있으며, 문법, 어휘, 발음, 유창성, 총평 등으로 평가항목을 구분하여 분석표를 제공합니다.
일본인과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원하신다면 SJPT를 도전해보세요.
4. BJT (비즈니스 일본어 능력 테스트)
- 주관처 : 일본한자능력검정협회
- 등급 : 0~800점
- 시험일정
- 응시료 : 미화 50달러
- 활용처 : 일본 대학 및 전문학교 입시, 일본 취업
BJT (Business Japanese Proficiency Test) 는 비즈니스 상황에서 필요한 일본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일본어를 사용하여 전문분야나 배경이 다른 상대방에서 쉽게 설명하거나 불명확한 점을 확인하면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능력을 테스트합니다.
또한, 언어 뿐 아니라 메일, 팩스의 글과, 도표, 사진 등 여러 형태의 일본어 자료를 이해 및 운용하고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한국에서의 인지도는 낮으나 일본 내에서는 JLPT와 함께 일본어 양대 시험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일본 기업 취업시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비즈니스 관련 주제다 보니 JPT나 JLPT보다 난이도가 어렵습니다. 테스트 결과는 0~800점으로 나타나며, 점수에 따라 6단계 등급 (J5~J1+)가 부여됩니다.
한국(서울, 부산, 대구, 대전) 뿐 아니라 전세계에서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5. EJU (일본유학시험)
- 주관처 : 일본학생지원기구(JASSO)
- 등급 : 과목별 0~200점
- 시험일정 : 연 2회 (6, 11월)
- 응시료 : 과목수별 상이
- 활용처 : 일본 대학 및 대학원, 전문학교 입학
EJU (일본유학시험)은 일본의 대학으로 입학을 희망하는 자에 대하여 일본의 대학에서 필요로 하는 일본어능력 및 기초학력의 평가를 목적으로 하는 시험입니다.
본 시험결과의 점수는 일본의 대학이 유학생의 일본어 능력과 기초학력을 판단하기 위해 이용합니다.
일본어 고등학교 교과과정을 기준으로 지원 분야에 따라 문과와 이과로 구분됩니다. 일본어 또는 영어로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6. J.TEST (실용일본어검정)
- 주관처 : J.TEST 일본 사무국
- 등급 : 특A급(930점)~D급(500점)
- 시험일정 : 연 6회 (1, 3, 5, 7, 9, 11월) + 수시시험
- 응시료 : 52,000원
- 활용처 : 일본 대학 및 대학원 입학, 일본 기업 취직과 평가
J-TEST 실용일본어검정시험은 외국인의 일본어 능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시험으로 직장인, 유학생 등 연간 10만 명 가량이 응시하고 있습니다.
JLPT와 마찬가지로 독해, 청해 문제가 출제되지만, JLPT 보다 수준과 난이도가 높은 시험입니다. J-TEST B급(800점)이 JLPT의 최고 레벨인 N1 수준입니다.
국내외 400개 이상의 기업, 단체, 대학에서 J-TEST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
일본어 자격증 종류 6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일본어 시험 자세히 비교해보시고 적합한 시험에 도전해보세요.
관련글
2025 한자급수시험 일정 정리 (어문회, 검정회, 진흥회, 상공회의소)
어문회 한자시험 급수별 수준 및 대상 총 정리